2023. 2. 6. 02:49ㆍTech💡 스마트라이프
윈도우10을 넘어 윈도우11 시대가 되면서, 매번 버전 업데이트가 되고 있는데요. 최근 업데이트에 속하는 윈도우11 22H2 버전에 이르러서는 설치 때부터 아예 인터넷 없는 상태에서 로컬 계정으로 설치가 불가능하고, MS계정(마소계정)으로 꼭 로그인하여 쓰는 형태로 조금씩 진화를 하고 있습니다.
저처럼 원드라이브나 MS(핫메일)계정을 잘 사용하는 유저라면 기기의 설정이나 원드라이브 동기화 폴더, Xbox Game Pass 등 여러가지가 연동되어 편리할 때도 있지만, 윈도우7 시절 부터 로컬 계정으로 사용하던 분들은 윈도우10과 윈도우11시대로 넘어보면서 MS핫메일 계정으로 동기화되는 여러가지 설정이 영 부자연스럽게 느껴질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시간을 내어 윈도우11을 로컬 계정으로 전환하는 방법, 그리고 아예 윈도우11을 클린설치할 때 로컬 계정으로 설치하는 팁을 정리해볼까 합니다. 먼저 윈도우11을 로컬계정으로 만드는 방법입니다.
윈도우11 로컬 계정으로 전환하는 방법
이미 윈도우11을 MS핫메일 계정이나 아웃룩 이메일 계정으로 연동하여 사용하고 있고, 이게 불편하게 느껴진다면 로컬 계정으로 바꾸어 보겠습니다.
가장 먼저 '설정' 앱으로 들어갑니다. 설정 앱을 실행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윈도우키를 누르고 '설정'이라고 입력해서 검색을 해도 되고, 윈도우 로고의 시작 메뉴를 오른쪽 클릭해서 '설정'을 클릭해도 됩니다.
그리고 보이는 왼쪽 메뉴에서 '계정'을 클릭 한 뒤 '사용자 정보'를 클릭합니다.
그런 다음 '대신 로컬 계정으로 로그인'을 누르게 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뜨는데요.
다음 버튼을 눌러서 진행해보면 지금 로그인되어 있는 MS계정 (핫메일 또는 아웃룩 등 MS 마소 이메일 계정)의 암호를 입력하여 본인인증을 한번 해주고 넘어가게 됩니다.
그러면 이제 사용자 이름을 다시 정하게 됩니다. 저는 한글 이름보다는 영문으로 작성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로컬 계정으로 사용할 사용자이름을 정하고, 만약 특별히 암호를 설정하고 싶지 않다면 암호를 공란으로 하고 넘어가는 것도 가능합니다. '다음'을 클릭해서 계속해 보면 이제 '로그아웃 및 마침' 버튼을 눌러서 Microsoft 계정에서 로그아웃이 되고 로컬 계정으로 전환이 완료 됩니다. 이렇게 로컬 계정으로 전환하면 윈도우 마이크로소프트 계정들이 서로 연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윈도우11을 조금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죠.
윈도우11 처음 설치 할 때 인터넷연결 없이 우회하여 (마소계정 연결하지 않고) 로컬 설치하기
애초에 윈도우11을 USB 부팅으로 클린 설치할 때, 인터넷에 연결하지 않은 상태로 MS계정을 연결하지 않으면 편하게 로컬 계정으로 설치가 가능한데요. 예전에는 와이파이나 유선랜 인터넷 연결을 요청하는 화면에서 작업관리자를 열어 실행하여 '네트워크 연결 흐름'을 수동으로 강제 종료하면 인터넷 없이 설치하는 하는 것이 가능했지만, 지금은 커맨트 창에서 명령어를 치는 방식으로 우회가 가능합니다.
윈도우11을 설치하다가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여기서 Shift + F10키를 눌러서 터미널 커맨드 창을 호출합니다.
뜨는 터미널 창을 한번 클릭한 다음,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oobe\bypassnro
위와 같이 입력하고 엔터키를 치면, 윈도우11 설치 중 다시 재부팅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시 인터넷 연결이 필요하다고 요청하는 '네트워크에 연결' 화면까지 재진입을 해보면, 아까와는 달리!
이렇게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 버튼이 나타난 것을 알수 있죠. 와이파이 연결을 하지 않고 이걸 누르고 '제한된 설치로 계속'을 하다보면 윈도우11를 설치할 때 인터넷 연결을 우회하고 로컬 계정으로 설치를 완료 할 수 있습니다 :)
:: MS365 (오피스365) 정품 구독하러 바로가기 ::
* 윈도우11를 MS계정과 연결하지 않고 로컬 계정으로 사용하고 싶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