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5. 30. 00:23ㆍTech💡 스마트라이프
드디어 AI 시대가 활짝 열린 것 같습니다. 이제는 어떤 일을 해도 챗GPT를 마치 나만의 AI비서처럼 켜놓고, 프롬프트 창에 여러 질문을 하면서 업무를 보게 되더군요.
이렇듯 OpenAI가 개발한 ChatGPT는 매우 유용하기는 하지만 아직은 약간 한계나 제한이 걸려 있는 편입니다.
그래도 발전 속도가 눈부시게 빠르기 때문에 약점들을 금방 보완해 나가면서 앞으로 ChatGPT 없이 살 수 없는 시대가 올지도 모르니 사용법을 잘 익혀둘 필요가 있죠.
그래서 오늘은 챗GPT를 업그레이드 해주는 크롬 브라우저 필수 확장 프로그램 4가지를 추천해봅니다.
1. 최신 정보를 알려주는 WebChatGPT (웹챗GPT)
:: 웹챗GPT 크롬 확장프로그램 다운로드 바로가기 ::
이제 곧 업그레이드가 되겠지만, 챗GPT의 무료버전은 아직 2021년 9월까지의 데이터만 연산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죠. 그래서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한 질문을 하면 자신은 2021년 9월까지의 내용만 알고 있다고 하면서 엉뚱한 대답을 할 때가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 우리나라의 대통령 이름을 물으면 현직 대통령 이름이 아닌, 전직 대통령 이름을 알려주고, 오늘의 환율 같은 간단한 정보도 ㅎㅎ 그래서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무언가를 요청하려면 챗GPT보다는 빙(Bing) AI나 구글 바드(Bard)가 조금 더 나을 때가 있죠.
다만 WebChatGPT 확장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웹의 검색 결과를 토대로 대답해 주기 때문에 최신 정보를 함께 접할 때 도움이 됩니다. 위와 같이 WebChatGPT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프롬프트 창 아래 Web Access 토글 버튼이 생기고, 몇개의 검색 결과를 포함할지, 그리고 어느정도 기간의 정보를 포함할지를 등등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하고 오늘의 환율을 물어보면...
위와 같이 웹 검색결과를 토대로 조금 더 최신 정보에 눈뜬(?) 똑똑한 GPT 답변을 들을 수 있습니다.
2. 프롬프트 지니 (영어로 물어봐서 정확도 높이기!)
두 번째로 추천하는 프롬프트 지니는 위에서 소개해드린 WebChatGPT의 상위호환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왜냐면 웹 검색 내용을 포함하는 '웹 연결' 기능도 있기 때문입니다.
어찌되었든 아직은 한글보다는 영문으로 검색을 했을 때 GPT가 더 상식적이고 논리적으로 정확한 답변을 하는 경우가 많기에... 한국어로 프롬프트를 치면 자동으로 영문 번역을 한 뒤에 챗GPT에 물어봐주고, 영어로 오는 답변을 다시 한국어로 번역을 해주는 방식으로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확실히 웹 연결 기능을 키니 최신 정보도 잘 대답을 해주네요. 기호에 따라 프롬프트 지니를 WebChatGPT 대신 사용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3. 검색엔진 검색할 때 ChatGPT 대답 같이 보기 Chat GPT for Google
:: ChatGPT for Google 설치하러 바로가기 ::
아직은 구글 검색이 더 익숙하고 빠르기 때문에, 구글에서 검색을 할 때가 많은데요. ChatGPT for Google 크롬 익스텐션은 구글에서 검색을 할 때 옆에 GPT의 답변을 같이 띄워져서 여러가지로 편합니다.
구글에서 '비오는날 저녁식사는 뭘로 할까?'라는 내용을 검색해보면, 왼쪽에는 구글 검색 결과인 유튜브 영상들이 출력되고, 오른쪽은 GPT가 해당 질문을 받아서 저녁식사 메뉴를 추천해주고 있네요. ㅎㅎ
참고로 모든 구글 검색을 할 때 챗GPT가 튀어나오면 조금 신경이 쓰이기도 하기에, ChatGPT 결과에서 톱니바퀴 아이콘을 눌러서 설정으로 들어가보면...
위와 같이 Trigger Mode를 'Always'로 하지 말고, 'Question Mark'로 설정해 두면, 구글 검색창에서 검색어를 입력할 때 뒤에 '?' 물음표를 붙여야지만 챗GPT 결과를 옆에 띄워줍니다. 이렇게 해두니까 꽤 쓸만해 지네요.
4. AIPRM (고수들이 쓰는 최적화된 프롬프트 추천 템플릿)
AIPRM는 챗GPT를 200% 활용할 수 있도록, 좋은 프롬프트 세팅을 꾸러미처럼 만들어논 일종의 프롬프트 프리셋/템플릿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용도에 맞추어 원하는 프롬프트 모드를 선택하고 적당한 키워드를 입력하면 더 최적화된 답변을 출력해줘서 좋네요.
제 경우에는 블로그 포스팅 제목을 만들어주는 'Blog Post Title Generator'나, 특정 서비스의 장점을 설명해주는 웹사이트 랜딩 페이지 카피라이팅을 해주는 기능'Create Perfect LandingPage'을 사용해보았습니다.
그랬더니 정말 그럴듯한 내용을 뽑아주네요.
AIPRM 계정을 만들지 않고 (그냥 Cancel을 누르면 됩니다) 그냥 Public으로 되어있는 프롬프트들만 잘 활용해도 꽤 재미난 결과들을 도출해낼 수 있습니다. AI로 그림을 그리시는 분들이라면 미드저니, Dall-E, Stable Diffusion 추천 프롬프트도 뽑아볼 수 있으니 잘 활용해보면 좋겠습니다.
5. Monica (뉴스기사, 유튜브 동영상 내용 3줄 요약 미리보기 & 이메일 내용 초안 작성)
마지막으로 크롬 확장프로그램으로 설치해두면 어디서든 꺼내서 지금 보고 있는 웹사이트나 블로그글, 뉴스기사 또는 유튜브 동영상까지 간단하게 내용을 3줄 요약으로 정리해주는 모니카(Monica)가 있습니다.
회원가입을 해야 제대로 사용할 수 있고 하루에 30번의 쿼리만 무료이지만 매우 유용한 기능들이 총망라되어 모여 있고 웹서핑을 하면서 바로바로 챗GPT의 도움을 받을 수 있어서 좋네요. 확장프로그램을 설치한 뒤 가입 후 로그인을 하면 크롬 브라우저나 엣지 브라우저 오른쪽에 사이드패널로 모니카를 열어서 챗GPT에게 바로 질문을 하거나, 지금 보고 있는 웹사이트에 대한 요약을 받을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지금 제가 작성한 이 글을 열어놓고 아래와 같이 요약을 시켜보았습니다. 프롬프트 창 바로 위에 있는 '책' 아이콘에 화살표를 올려보면 '이 글 읽어보기'가 됩니다. 그럼 바로 내용을 요약해주는데요.
제가 쓴 글의 핵심과 내용을 그래도 짧게 요약을 해줘서 좋네요.
놀랍게도 유튜브 동영상도 열어놓고 눌러보니, 영상이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짧게 요약해서 알려줍니다. 뿐만 아니라 하이라이트 부분이 어딘지도 알려줘서,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서 유튜브 영상의 어느부분을 시청해야 하는지도 알수 있어서 좋네요.
아쉽게도 유튜브 영상 요약기능은 무료 버전에서는 몇번 사용하고 나면 유료 버전으로 전환을 해야 하는 것 같은데요. 해당 기능은 YouTube Article Summary라는 대체제 확장 프로그램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뿐만 아니라 Monica를 이용하면 업무상 반복적으로 작성해야 하는 이메일, 트렌디한 블로그 포스팅, 아이디어 브레인스토밍 등 원하는 글의 길이와 어조를 선택해서 '드래프트 생성' 버튼을 누르면 바로 초안을 생성할 수 있어서 좋네요. 웹브라우저를 띄워놓고 같이 사용할 수 있는 AI 비서로는 딱인 것 같습니다. GPT4 기반인 만큼 Monica는 유료로 사용해도 만족도가 높을 것 같네요.
* 이밖에도 다양한 챗GPT의 능력을 이끌어낼 수 있는 확장 프로그램이 있다면 추가해보겠습니다. 앞으로 거의 모든 IT서비스에 GPT 플러그인 방식으로 인공지능 챗GPT가 기본으로 보급되는 시점이 곧 올것 같네요 :)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