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통법(4)
-
단통법 1년 시행 후 얻은 성과는? 단통법 폐지보다는 개선점을 찾아보자
단통법이 시행된 지 1년, 아직도 단통법 관련 이슈는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커뮤니티나 뉴스기사에는 지난 1년간 단통법이 시행 된 이후의 성과에 대해서 많은 비판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댓글을 살펴보면 단통법이 마치 백해무익한 것처럼 엄청난 질타를 받고 있더군요. ^^ 그래서 요즘에는 저도 단통법에 대한 글을 쓰기 매우 조심스러워 집니다. 일단 지난 포스팅에서도 길게 설명했던 것 처럼, 단통법의 취지는 매우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단통법이 시행되기 전 국내 단말기 시장은 질서가 없는 아수라장에 가까웠으니까요. 같은 날 동일한 대리점에 방문해서 스마트폰을 구입한 두 사람이 서로 같은 조건의 동일한 폰을 구입해도 다른 가격을 지불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 2014년 10월 1일 시작된 단말..
2015.10.09 -
단통법 효과, 이제 안정권에 들어선 걸까?
이동통신단말기 유통구조개선법, 이하 '단통법'이라는 용어가 등장한지도 이제 거의 1년 정도가 된 것 같습니다. 그동안 단통법과 관련하여 차후 국내 이동통신시장의 트렌드와 방향성에 대한 글을 쓰기도 했는데요. 첫 도입 이후 기존과는 달라진 보조금(지원금) 방식이 이슈가 되어 혼란이 야기되기도 했지만, 이제 점차적으로 안정권에 들어서면서 긍정적인 효과를 정착시키고 있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냉정하게 생각해보면 단통법 이전의 상황이 오히려 일반 소비자들에게 '혼란'을 야기했던 것 같네요. '스팟성 비밀 보조금'이라는 명칭하에 널뛰기 하듯 가격이 달라져서, 오늘 휴대폰을 구입한 사람과 어제 구입한 사람이 극명하게 다른 조건과 대우를 받으니 여러가지로 안좋은 상황이 연출되고는 했습니다. 이제는 단통법이 가져온 효과..
2015.08.19 -
통신비 절감 방법 선택약정 20% 요금할인 (지원금상응할인) 꼭 알아야 하는 3가지
단통법(단말기유통법) 개선을 위해 시도되는 여러가지 시도 중 가장 긍정적인 변화 중 하나로 저는 선택약정할인제도 (지원금상응요금할인)을 꼽고 있습니다. '선택약정'이라고 잘 알려진 이 할인제도는 2년 약정을 끝낸 이용자나 공기계(자급제폰) 구입자, 그리고 새로운 단말기를 구입하면서 지원금 대신 이에 상응하는 할인을 받을 수 있다는 매력때문에 가입자가 80만명에 이른다고 하는데요. 초기에는 12% 할인이 적용되고 약정기간도 2년이 되는지라 큰 메리트가 없었지만, 지난 2015년 4월 24일부터 20% 요금할인으로 크게 할인율이 올랐고 약정기간도 1년부터 설정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이 때문에 잘 계산해보면 스마트폰 구입시 공식지원금 보다 선택약정 20%(지원금상응할인)을 적용하면 결과적으로 더 저렴하게 통..
2015.06.21 -
데이터중심요금제 비교로 분석해본 단통법의 역할과 방향성
스마트폰, 모바일 기기를 매번 새로운 기종으로 바꾸는 분들을 주로 '얼리어답터'라고 통칭하고는 합니다. ^^ 특히 IT분야에 관한 글과 리뷰를 작성하는 블로거분들은 대부분 남들보다 최신기기를 써보고 싶은 의욕이 매우 강한 사람들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요즘 국내 IT관련 행사에 참가해서 관계자, 그리고 지인 블로거분들과 대화를 나눠보면 어느새 '단통법' (단말기유통개선법)에 관한 이야기가 나오곤 합니다. 스마트폰 신제품에 관한 정보를 나누다가 '단통법'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게 되는 것을 보면 '단통법'이 최근 휴대폰시장에 큰 영향을 끼친 것은 확실해보입니다. 간단하게 요점을 정리해보면 단통법은 그동안 우리나라 이동통신시장이 구성된 생태계와 '관습'을 뒤흔들어 놓았다고 생각합니다. ^^ 찬반론이 오가고 있..
2015.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