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사(3)
-
통신요금 절약 비법, 그리고 알아두면 유익한 가계통신비 절감 정책들 살펴보기
2015년 한 해는 정부의 통신비 절감 정책들이 하나 둘 시행되면서 이동통신을 사용하는 국민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 한 해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선택약정할인 제도, 데이터중심요금제, 중저가폰 활성화와 단말기의 출고가 인하 효과 등 여러가지 이슈가 있었는데요. 저는 이 중 선택약정할인 20% 제도의 역할을 톡톡히 보고 있는 편입니다. 2014년만 해도 저는 다달이 3~4만원 정도를 통신요금으로 지출 했었는데요. 2015년에 통신사 가족할인 프로그램을 이용해 2만원대가 되었고, 여기에 선택약정할인 20%를 적용시켜 이제 매월 내는 통신비를 1만 6천원대로 절약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예년에 비하면 통신요금을 크게 줄여 거의 과거의 50% 수준을 실현했네요. ▲ 지난 10월 선택약정할인 20%에 가입한 이후 월 통..
2015.12.26 -
단통법 효과, 이제 안정권에 들어선 걸까?
이동통신단말기 유통구조개선법, 이하 '단통법'이라는 용어가 등장한지도 이제 거의 1년 정도가 된 것 같습니다. 그동안 단통법과 관련하여 차후 국내 이동통신시장의 트렌드와 방향성에 대한 글을 쓰기도 했는데요. 첫 도입 이후 기존과는 달라진 보조금(지원금) 방식이 이슈가 되어 혼란이 야기되기도 했지만, 이제 점차적으로 안정권에 들어서면서 긍정적인 효과를 정착시키고 있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냉정하게 생각해보면 단통법 이전의 상황이 오히려 일반 소비자들에게 '혼란'을 야기했던 것 같네요. '스팟성 비밀 보조금'이라는 명칭하에 널뛰기 하듯 가격이 달라져서, 오늘 휴대폰을 구입한 사람과 어제 구입한 사람이 극명하게 다른 조건과 대우를 받으니 여러가지로 안좋은 상황이 연출되고는 했습니다. 이제는 단통법이 가져온 효과..
2015.08.19 -
국내 통신사(SKT/KT/LG유플러스) 이동통신 가입자/번호이동 통계, 스마트폰 이용자수 알아볼 수 있는 곳
이전에 일하던 회사에서 잠깐 리서치용으로 부탁받은 내용으로,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 수 통계를 알아볼 수 있는 사이트들을 정리해봅니다. (KTOA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 미래창조과학부에서 매달 업데이트되는 자료들입니다.) 대부분 엑셀파일로 다운로드가 가능하여 리서치 자료로 활용해봄직 합니다. :) 이동전화 가입자 점유 현황 :: 이동전화서비스 가입자 현황 보러가기 ::(http://stat.ktoa.or.kr/02_service/service_02_client.asp) :: 번호이동자 통계 보러가기 ::(http://stat.ktoa.or.kr/04_biz/biz_01_client.asp) 최근들어 국내 3통신사가 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해 여러번 뉴스기사로 이슈화되어 모바일 분야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SKT..
2014.03.03